syntax

syntax ch.12 Wh-movement and locality constraints

sootreeah 2022. 12. 10. 19:11

dp movement 다시 한번 요약하자면...

DPs were mov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y got a "theta role" to a position where they could get "case".

 

let's turn to another kind of phrasal movement, where DPs already have Case.

 

question들의 종류 중 두 가지 알아보자

1) yes/no question : the answers to theses questions ; yes, no, maybe, i dont know...

2) wh-question : the words that introduce them begin with letters <wh> in Eng( except "how")

the responses to this kind of question must be "informative phrases".

 

1. movement in wh-questions

wh-question들 보면,,,

1) you can see that wh-phrase appears in a position "far away from" the position where its "theta role" is assigned. = not in their theta positions.

2) wh-phrases aren't in their Case positions. Case부여하는 자리에 없음

What did Becky buy? --> what 이 theme인데, theta position이자 case부여하는 buy뒤가 아니라 구의 맨 앞에 온다. 

What did Stacy say Becky bought? --> bought의 theme인 what이 너무 멀리 있어서 locality constraint위반처럼 보인다

 

우리는 앞과는 다른 trigger를 가지고 이동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wh-phrases move to "specifier of CP".

specifier of CP인 이유 : wh-phrases는 aux C보다 앞에 나오는데, 그러면 들어갈 자리가 CP의 spec자리밖에 없음.

 

*notice that what moves is "an entire phrase; DP, PP, AdjP, AdvP" 따라서 head-to-head movement라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이 이동은 main clause에서 T->C movement도 일으킨다(의문문인데 C가 null값이니까..(?))

 

the only complementizer that is compatible with wh-movement in English is null. O/[+Q, +WH]로 나타낼 수 있을듯(?)

어느 언어든, [+WH] resides in the C of a wh-sentence.

and wh-phrase moves to the specifier of CP "to be near the [+WH] feature. = "to check the wh-feature" (DP이동도 [NOM]feature check위해 이동했듯이!

 

369~375 예시 꼭 살펴보자!

 

*whom 목관대는 초기 생성 자리에서 theta role이랑 case받고, [+WH] feature check위해 이동하는 것이다!

 

+간접의문문이라고 우리가 부르는, wh-questions in embedded clauses는 T->C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즉, C가 [+Q, +WH]가 아님. C[+Q]를 포함 안하는듯!  e.g., I wonder what she has done. *I wonder what has she done.

 

*wh-phrase가 문두에 오는 경우도, embedded clause의 맨 앞 정도에만 오는 경우도 있다. 이건 동사 바이 동사인데, think의 CP의 subcategory는 headed by C[-Q, -WH] ; who do you think N kissed? / wonder는 C[-Q, +WH] ; I wonder who N kissed.

 

2. Relative Clauses

Relative Clause : a CP with a wh-element in it modifies a noun. 관계절이라고 생각하면 될듯

wh-movement의 약간 특이 케이스(?)

 

+명사 꾸며주는 절이라고 다 relative clause인 것은 아님

Factive complement clause라는 구도 있다 ; 동격의 절 정도라고 생각하면될 것 같은데, factive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CP를 adjunct가 아니라 "complement"로 받는다(관계절은 adjunct로 받는듯?)

특징 : don't have missing elements in the TP(완전한 문장이 C뒤에 온다는 말인듯). / there are no wh-phrases / they have all of their arguments contained within them(이건 뭔소린지 ㅁㄹ)

e.g., [(DP) The fact [(CP) that I like milk shakes]] is none of your business.

 

관계절은 이와 달리, share with wh-questions the property of having an argument or adjunct missing within the clause. 뒷문장 불완전한 채로 adjunct로써 쓰인다는 뜻..? argument는 어캐 해석하지..

 

위에서 본 embedded wh-question과 다른 점은 the category the CPs are attached to이다. 

간접의문문은 part of VP, 관계절은 part of DP. 

 

예시 tree:30번트리 첨부

*보면, wh-phrases를 embedded CP의 specifier로 옮긴다.

 

그런데, 모든 관계절에 wh-element가 있는 것은 아니다 ; I know several people __ she kissed.

--> 그리고, several people은 누구로부터 theta role을 받아올까? know라는 동사로부터 "theme role"받아오는 동시에, kissed라는 동사로부터도 theme role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즉, a single noun gets two theta roles from two different verbs! theta criterion에 어긋난다..

해결방법 : English has a special DP element called an "operator"! Operator이 따로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리고 이 Op가 원래 Case position(kissed의 목적어)에서 시작해, wh-phrase가 그러듯이 spec CP자리로 이동한다.

I know several people [(CP) "여기로이동!" [(TP) she kissed Op] ].

이렇게 하면, 하나의 명사가 두 곳에서 theta role받는 것이 아니라, 두개의 명사가 각각 theta role받아온다고 말할 수 있다!(peopel은 know로부터, Op는 kissed로부터)

보다시피, Op는 silent하다. (그냥 wh-phrase가 silent한 버전=Op라고 생각하면 될듯)

 

또, wh-element대신에 that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  I know several people that she kissed.

--> we have a null "wh-word" that moves into the specifier of the CP headed by that

;  I know several people ["여기로 이동!" that [she kissed Op] ]. 

영어 고어나 다른 언어들에서 who that 이런식으로 같이 붙여쓰는 게 이 주장의 증거가 됨. 영어만 wh, that 둘이 같이 쓰면 silent되는 것임!

 

3. Island

Wh-movement 등 여러 이동은 사실 제약이 존재한다. 그 제약은 "island"와 관련있다.

Island... you cannot move out of an island, but you can move around within it.

 

#크게 네 가지 island가 있다

1) DP-island

CP가 N head의 complement일 때, DP밖으로 이동불가. 

CP는 완전한 절, 관계절 둘다 해당

"What" did lori make [(DP) the claim [ (CP) that she read "t i" in the syntax book] ]?

"Which cake" did you see [(DP) the woman [(CP) who baked "t i" ] ]?

 

The complex DP constraint : *wh i [...[(DP)... t i ...] ...]

 

2)wh-island

wh-phrases를 둘 다 옮기려 하게 되면 문제가 생긴다. 

once you move a wh-phrase into a specifier of a CP, then that CP becomes an "island" for further extraction.

= you can't do wh-movement and skip around a CP that has another wh-phrase in its specifier.

첫번째꺼 옮기면서 island형성되면, 첫번째가 들어간 spec CP 건너뛰면서 다른 거 밖으로 빼내고자 할 수 없다.(4번 섹션과 관련있음)

 

43번,46번 문장 첨부(문장이 각각 존재할 때는 괜찮은데 합치면 참사 발생..!)

- How do you think Franz bought what? / I wonder what Franz bought how. 이렇게 이동이 하나만 일어나는 경우는 괜찮아!

 

Wh-island constraint : * wh i [... [ (CP) wh k [ ... t i ...] ...] ...]

 

3) subject island

the subject condition : *wh i ... [TP [ CP(주어) ... t i ... ] T ...]

* "Who i" was [(TP) [(CP) that the police would arrest "t i" ] "t was" a certainty?

 

4) conjunction

51번 첨부

53번 첨부

 

4. The minimal link condition(MLC)

4.1 wh-island and MLC

앞에서 여러번 봤듯이, syntactic operations like to either be local(anaphor within clause, theta roles within VP) or create localities(DP close to Case assigner, affix close to their host, wh-phrase near [+WH])

WH-이동 역시 마찬가지다. "Movement must always target the nearest potential position" --> locality condition

 

MLC = move to the closest potential landing site.

383 57부터 59까지 읽어보기!

요약 : wh-phrase가 두 개 나오게 되면, 이동 가능한 가장 가까운 자리가 겹치게 됨. 하나가 채우게 되면, 다른 하나는 스킵하고 다른 이동가능한 자리로 넘어가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WH] feature check는 가능해도 MLC만족못함.

 

*when you have multiple wh-phrases that require movement,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m will be blocked by the MLC because the closest potential landing site will be occupied by the other.

 

- "Who" do you think "t i" kissed the gorilla? 이거 MLC위반 아니야 그럼?

우리 저번에 wh 이동이 한방에가 아니라 들렀다가 간다고 했던거 기억나? 중간에 들르는 이유가 MLC때문인 것이다.

the MLC requires that all movement be local. in order to maintain this locality the movement happens in two hops. --> "successive cyclic movement" 

MLC때문에 들렀다가 [+WH]feature checking? 암튼 어떤 이유로 최종자리로 정착하러 한번 더 올라간다.

62번 첨부

 

4.2 the MLC in DP movement and Head Movement

MLC, 다른 island에 대해서는 설명 못함. 아직도 논란 중..

대신 DP movement랑 head movement원리 다시 한 번 설명 가능!

 

DP movement

D-structure : ___seems [that ___ is likely [Bella to have left] ]. 

*is likely, seem은 애초에 주어가 없는 동사들임!!꼭 기억합시다.

어쨋든 이 D-structure보면 Bella의 potential landing site가 두 곳이 있는데, MLC법칙에 따라서 두번째 ___에 들어가야됨.

앞은 expletive it이 채워주고...

It seems that Bella is likely "t i" to have left.

 

Head movement

french에서 main verb with no auxiliary일 때 yes/no question만드려면

V-->T가 이뤄진 후에 T-->C가 이뤄지는데, V-->C갈 때 T들르는 것으로 MLC충족한다.

 

만약 aux가 T자리에 이미 있다면, V-->C는 불가능한데,

T를 들르지 못하고 바로 이동하다보니까 V의 MLC를 충족하지 ㅇ못하기 때문이다.

you eat of.the apples --> Eat you of.the apples.

you have eaten of.the apples --> *Eaten you have of.the apples.

 

5. Echo questions (wh-in-situ) in English

앞서, 두 개 이상의 "움직인 " wh-phrases가 한 문장 내에 있을 수 없다고 했는데, 그렇다고 해서, 두 개의 wh-phrases가 한 문장에 공존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하나만 움직이면 ㄱㅊ..)

 

wh-in-situ(in place) : wh-phrase가 움직이지 않고 원래 자리에 머물러 있는 현상. 

Who loves who? 이렇게 하나는 원래 자리에 있으면 정문입니다.

 

Shelly loves who?같이 하나의 wh-phrase만 있는데 이 하나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echo question이기 때문이다!!

echo question은 지금까지 본 의문문처럼 not requests for new information

; instead they are requests for confirmation of something someone has heard.

((두 귀를 의심)A랑 "누구"랑 사귄다고?? )이런 뉘앙스...

 

*이동하지 않는 이유가 theses are not wh-questions and thes apparent wh-phrases are [-WH]이기 때문이다.

 

echo Q 특징 : 1) they don't involve movement --> *이동 없어서 they aren't going to be subject to the MLC.

2) they do involve a special "intonation" where the in situ wh-phrase is stressed. 억양을 wh-phrase(in place)를 강조해서 발음한다!

- while yes/no Q and wh-Q have some kind of "syntactic licensing", echo Q seem to be licensed by "intonation and stress"

-그렇다면 이런 음성학적인 특징을 어캐 tree에 녹이지? --> C[+INT]로! 

[+INT] = doesn't trigger any movements. it instructs a phonology to put a rising intonation curve on the clause that follows the C.

 

+영어에서는, wh-in-situ 가 echo-Q에서만 나타남. 근데 wh-in-situ가 의문문인 언어들도 있음!(중국어, 일본어...)

다음 챕터에서 다뤄보자 ㅋ.